이번 게시글을 통해 코어 웹 바이탈에 대해서 알아보고 코어 웹 바이탈에서 제시하는 세부적인 수치 (LCP, FID, CLS)에 대해서 어떤것을 의미하고 콘텐츠에 적용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코어 웹 바이탈이란?
- 세부 요소
- LCP
- FID
- CLS
- 측정 방법
- 구글 서치 콘솔
- SEO Pro 확장
코어 웹 바이탈이란?
코어 웹 바이탈은 웹 페이지에 대해서 구글이 제시하는 성적표로 사이트의 전반적인 로딩속도, 가시성, 보안문제등 여러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구글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실제로 해당 수치를 활용하여 검색 결과에 반영 시킨다고 하였기 때문에 구글 검색 결과 상단에 게시글을 띄우기 위해서는 이 수치들을 최대한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코어 웹 바이탈에 관련한 구글 공식 문서는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https://support.google.com/webmasters/answer/9205520?hl=ko
세부 요소
코어 웹 바이탈에는 LCP, FID, CLS라는 세부 요소들이 있습니다. 아래 챕터에서 각각의 요소들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LCP
LCP란 최대 콘텐츠 렌더링 시간으로 사용자가 어떤 URL을 클릭하여 방문을 시작한 시점부터 가장 큰(이미지, 동영상) 렌더링 요소를 불러오기까지 경과한 시간입니다.
간단하게 어떤 홈페이지에 방문할때 URL을 누른 시점부터 웹페이지가 모두 로딩되는 로딩 시간을 의미한다고 보면 되며 해당 시간은 작을수록 좋습니다.
FID
FID는 최초 입력 반응 시간입니다. 이 요소는 웹페이지가 모두 렌더링 완료된 후 측정하는 요소 입니다. 사용자가 렌더링이 모두 끝난 웹에서 어떤 요소를 클릭하였을때 그 요소가 동작하는데 경과한 시간입니다.
예를 들면 네이버에 접근한 뒤 “로그인하기” 버튼을 누른 시점부터 로그인하기 페이지가 모두 로딩 될때까지 경과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요소는 사이트의 첫 로딩뿐만 아니라 모든 요소에 대해서 로딩 속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CLS
CLS는 레이아웃 변경 횟수를 의미합니다. CLS의 측정은 사용자가 페이지에 방문한 후 상주해 있는 시간 모두를 측정하며 해당 시간동안 페이지 내부에 레이아웃이 몇번 변경되었는지 측정합니다.
이 값을 측정하는 이유는 팝업 광고와 같이 가독성을 방해하는 요소가 얼마나 자주 표시되는지 측정하기 위해서이며 특정 뉴스 사이트의 경우 수십개의 광고가 표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CLS 값이 아주 높게 측정됩니다.
요약
구글에서 제시하는 LCP, FID, CLS 기준치에 대해서 알려드리고 요약하도록 하겠습니다.
빠름 | 개선이 필요함 | 느림 | |
LCP (콘텐츠 렌더링 시간) | 2.5초 이하 | 4초 이하 | 4초 초과 |
FID (최초 입력 반응 시간) | 100밀리초 이하 | 300밀리초 이하 | 300밀리초 초과 |
CLS (레이아웃 변경 횟수) | 0.1 이하 | 0.25 이하 | 0.25 초과 |
LCP는 페이지 로딩 속도로 수치가 적을수록 좋습니다. 구글에서는 약 2.5초로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FID는 페이지 내부 요소에 대한 로딩 속도로 어떤 버튼을 눌렸을 경우 로딩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수치가 적을수록 좋습니다.
CLS는 페이지 레이아웃 변경 횟수로 가독성을 측정합니다. 그 값이 적을수록 좋습니다.
측정 방법
구글 서치 콘솔
코어 웹 바이탈은 구글에서 제시하는 수치임으로 서치 콘솔에서 해당 요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치 콘솔에 접속 후 분석을 원하시는 사이트 URL을 등록하시고 좌측 카테고리에서 “코어 웹 바이탈”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내부 URL에 대해서 어떤 URL이 개선이 느린지 빠른지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우측 상단에 있는 “보고서 열기”를 클릭하여 어떤 요소 때문에 느린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EO Pro 확장
SEO Pro라는 플러그인을 통해 코어 웹 바이탈 수치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우선 해당 플러그인을 제공하는 사이트 URL을 아래 남기겠습니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seo-pro-extension/lajfdngpocmchpihjecojjllfjeehgnl
위 플러그인을 크롬에 적용하면 LCP, FID, CLS 수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WEB VITALS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어 웹 바이탈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한 방법
번외로 코어 웹 바이탈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한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번 게시글을 통해 코어 웹 바이탈 지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웹 페이지를 구성하고 콘텐츠를 작성하실 때 코어 웹 바이탈 수치도 확인하여 더욱더 SEO 적인 컨텐츠를 발행하도록 합시다. 추가로 자사 컨설팅 서비스를 받고 싶으신 분은 아래 컨설팅 서비스 알아보기를 방문해 주세요.
TBWA DataLab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지훈입니다. SEO 서비스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핑백: 마케터라면 주목해야 할 2023 SEO 트렌드 - TBWA 데이터랩
핑백: 구글 웹사이트 속도 측정 및 개선 방법 | TBWA 데이터랩
핑백: 흔히 일어나는 SEO 실수 8가지 – 해결법까지 - TBWA 데이터랩
핑백: 고객 경험 (CX)에 대한 모든 것 - 개선 팁 6가지 - TBWA 데이터랩
핑백: SEO(검색엔진최적화) 업체 선정 가이드 2023 - TBWA 데이터랩